부산시 영도구는 주민 주거생활 안정과 쾌적한 공동주택 환경조성을 위하여 공동주택 내 노후 공용시설 보수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2024년 공동주택 관리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지원 자격은 세대수 20세대 이상으로 사용검사일로부터 15년이 경과한 공동주택이며, 임대주택, 10년 이내에 재건축 예정 및 보조금을 지원 받은 지 5년이 경과하지 않은 공동주택은 제외 된다. 사업비는 4천만원으로 노후 공동주택의 지원확대 및 실효성 있는 지원을 위해 공동주택 경과년수에 따라 50~80%(최대 1천만원)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신청을 희망하는 공동주택은 오는 2월 1일부터 2월 29일까지 영도구청 건축과로 신청하면 된다.
부산시는 시민들이 어린이 통학로 종합안전대책과 어린이 보호구역 정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일(22일)부터 시 누리집을 개편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누리집 개편 작업은 지난해 10월에 발표한 '어린이통학로 종합안전대책'의 세부 실행계획에 따라 추진됐다. 특히, 지난해 청동초 통학로 사고 후 스쿨존 안전 문제에 관한 시민들의 관심이 증가했고, 학부모, 시민단체 등 시민들의 정보 공개 요구에 대응해 시가 시민의 알권리와 정책 참여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쌍방 소통을 준비한 결과다. 이번 개편으로, 시민들은 시 누리집에서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어린이 통학로 종합안전대책의 주요 정책 안내뿐만 아니라 보호구역 지정현황, 관련 법규, 정책뉴스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시 누리집 분야별 정보의 교통․물류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시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인 방호울타리, 보도, 불법주정차 무인단속카메라(CCTV) 등 시설개선계획이 위치기반 정책지도로 제공돼 클릭 한 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누리집 개편으로 시민 관심사항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 공유가 가능해져 시민 공감대와 행정 신뢰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부산광역시립구포도서관 분관 부산영어도서관은 10일부터 올해 말까지 World for Kids실에서 ‘Fun Reading with Volunteers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을 통해 어린이들의 영어독서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6세~10세) 어린이에게 재능기부 자원봉사자가 영어 동화책을 읽어주는 방식으로 운영하며, 매주 수·목·금요일 오후 3시 20분, 4시 10분 2차례씩 40분간 진행한다. 참가 희망 어린이는 사전 신청 없이 World for Kids실로 선착순 방문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부산영어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칠태 부산구포도서관장은 “이번 프로그램이 어린이들의 영어독서 동기 유발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봉사 정신과 봉사의 기쁨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2024년 올해 더욱 다양한 혜택이 담긴 정책으로 지역화폐 동백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한정된 예산의 효율적 사용을 통해 시민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소상공인에게는 더 많은 지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했다. 우선, 지난 2022년 8월부터 유지하고 있는 월 30만 원 한도, 5% 캐시백 정책(연 매출 30억 원 이하)을 올해에도 그대로 유지한다. 다만, 국비가 교부되면, 교부 조건에 맞춰 추가 캐시백을 제공하는 등 시민들에게 즉시 혜택을 돌려줄 계획이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매출 10억 이하 가맹점에서 동백전을 사용하면 2% 더해진 7%의 캐시백을 지급했지만, 올해는 국비가 아직 교부되지 않아 당분간 5%의 캐시백을 지급한다. 두 번째로, 기존 가맹점보다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동백플러스 가맹점에 대한 추가 캐시백 요율을 기존 2%에서 3%로 1%p 상향한다. 동백플러스 가맹점 제도는 동백전 큐알(QR) 결제 시 가맹점이 3~10% 자체 할인을, 시는 기본 캐시백뿐 아니라 추가 캐시백을 제공하는 제도다. 이번 추가 캐시백 상향으로 결제액의 최대 18%(최대 10% 할인 + 5% 기본 캐시백 + 3% 추가 캐시백)의 할인과 캐시백 효과를 볼 수 있다.
부산시는 8일부터 시정홍보물 제작에 사용한 고품질 사진을 부산시 누리집을 통해 무료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시는 홍보책자 등에 수록할 이미지를 상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난 2022년부터 도시 경관, 주요 정책 및 비전 표출에 목적을 두고 차별화된 기획과 연출로 다양한 시정홍보용 사진을 촬영해왔다. 제공되는 소스 사진은 경제, 관광, 축제, 안전 등 총 10개 분야 160여 장이다. 시는 홍보 사진으로서의 가치와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정책별로 이미지 구성을 차별화하고, 사진의 다양성과 품질을 높이는 데 노력했다. 15분도시 조성, 영어하기 편한 도시, 도시브랜드 등 분야별 주요 정책과 비전이 사진 속에 잘 드러나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그 예로, 어린이복합문화공간(들락날락)에서 책을 보고 뛰어노는 아이들의 모습을 소스 사진으로 제공해 15분도시 정책으로로 느낄 수 있는 아이들의 행복감을 표현했다. 시를 홍보할 목적이라면 누구나 시 누리집을 통해 사진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시 누리집 '부산소식'시정사진'시정홍보사진' 탭에서 사진을 내려받은 다음 출처를 밝히고 자유롭게 사용하면 된다. 특히, 이번 무료 제공으로 주제가 뚜렷하게 연출된 고품
영도구 주유소들의 기름값이 타지역에 비해 비싸다는 소문은 잘못된 것입니다. 타지역 주유소들의 기름값이 비정상적으로 싼 것이지, 영도구 주유소들의 기름값이 비정상적으로 비싼건 결코 아닙니다. 오히려, 정상가격 보다 쌉니다. 일반적으로 10~15% 마진이 상식인 판매가를 5% 미만의 마진으로 판매하고 있는 것입니다. 내막은 이렇습니다. " 타지역 주유소들의 기름값이 싼 이유는, 20~30개 주유소를 소유한 대형대리점들이 20~30개 주유소 물량을 한꺼번에 구입하므로써 개인주유소 보다 싼 가격으로 기름을 구입하기 때문이다. 이는, 대형마트가 편의점이나 동네구멍가게 보다 싼 이치와 같다. " 실제 수치로 풀이하면... 휘발유 가격의 경우, 영도의 개인주유소들은 리터당 1,600원에 구입해서 1,668원에 파는데 (마진68원), 대형대리점 산하의 주유소들은 1,500원에 구입 1,600원에 팔아서 100원의 마진을 봅니다. 그런데, 문제의 근원이자 핵심은, 대형대리점들이 10~15% 마진을 볼수있는 1,650~1,700원에 팔지않고 인근의 개인주유소들이 사오는 가격인 1,600원에 파는 이유- 즉, 개인주유소들을 고사시킬려는 목적인 것입니다. 이런 연유로 부산시내 개
https://www.kookje.co.kr/new ☞ 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40105.22008001381
https:// ☞ news.lghellovision.net/news/articleView.html?idxno=450478
☞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8676&ref=A
부산시가 내년부터 달라지는, 부산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제도·시책 59개를 6대 분야*로 정리해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는 내년에 달라지는 부산시의 제도와 시책을 알기 쉽게 안내해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고 정책 변화로 인한 불편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글로벌 경제위기 등 대내외적인 환경의 불확실성이 이어져 지역 경제 여건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시가 시민 각계각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촘촘하게 제공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생활 편익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려 안전하고 행복한 생활을 도모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 경제·일자리·청년 분야 먼저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위해 동백플러스 가맹점의 추가 캐시백의 확대지원(2%→3%)하고 2024년도 생활임금 확대 시행(11,074원→11,350원)으로 민생경제의 활력을 높인다. 그리고 청년연령 상향(18세부터 34세 이하→18세부터 39세 이하)을 통해 부산 청년들에 대한 지원정책의 범위를 확대하고 청년들이 활력있는 도시 조성에 힘쓴다. ▲ 도시·교통 분야 내년 1월 1일부터 시내버스 탑승 시 일회용 용기(일명 테이크아웃 컵)에 담긴 음식물 반입을 제한해 쾌적한 시내버스 이용환경을 조성하고 시